1688 사이트는 중국 내수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로, 알리바바그룹이 중국 중소 제조업체와 도매업자를
연결하기 위해 만든 시스템입니다.

현재는 중국 공장·도매·유통 생태계를 통째로 디지털화한 채널로 자리 잡았고, 한국을 포함한
해외 사업자들의 공급망 확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1688이 어떤 배경과 흐름 속에서 탄생했고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중국 대표 도매 플랫폼이 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688의 역사는 1999년
알리바바닷컴 B2B 플랫폼에서 시작됩니다. 당시 알리바바
초기 사업 방향은 해외 무역을 타깃으로 한 B2B 수출 중개였고, 플랫폼이
성장할수록 수출 중심 생태계는 빠르게 확대되었습니다. 그러나 중국 내부 제조업체들이 국내 시장에서도
거래를 효율화할 수 있는 온라인 채널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흐름이 바로 1688 탄생의 중요한 계기가 됩니다.

2003년경 중국 제조업 중심지였던 저장성, 광둥성 일대에는 수천 개의 중소 공장들이 존재했지만, 오프라인 도매
시장 중심의 구조 때문에 ‘가격·MOQ·공장 스펙’ 같은 핵심 정보가 비대칭적으로 흘러갔습니다. 제조업자와 도매상이
일일이 만나 협상해야 하는 형태였기 때문에 거래 비용이 높았고, 유통망 접근성도 제한적이었습니다. 이 과정을 온라인으로 바꾼 것이 1688의 핵심 가치였고, 알리바바그룹은 중국 내수 SME(중소·영세 제조업)에게도 디지털 유통 생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1688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1688이라는 이름은 중국어 발음에서 ‘一路发(이루파)’라는 길게 번창하라는 의미적 상징과도 연결됩니다. 숫자 기반 네이밍은
중국 온라인 비즈니스에서는 흔한 방식이며, 특히 중소기업을 상징하는 브랜드 전략으로 많이 활용되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플랫폼은 중국 내수 도매·제조 시장을 디지털로 연결하는
첫 대형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1688의 본격적인 성장은 2008년
이후 중국 전자화폐·온라인 결제·물류 인프라가 빠르게 개선되는
시기와 맞물렸습니다. 알리페이가 구축되면서 온라인 도매 시장의 신뢰도가 높아졌고, 알리바바 그룹의 물류 자회사인 차이냐오가 발달하면서 배송·검수·창고 시스템이 정교해졌습니다. 이즈음부터 1688은 단순한 도매몰이 아니라 공장 생산 라인 정보, 원단·부자재 소싱, OEM·ODM 견적 요청 등 B2B 전용 기능을 갖춘 전문 생태계로 발전합니다.
현재의 1688은 중국 공장들이 최소 MOQ를 설정해 OEM 생산을 받는 제조 중심 구조, 이우·광저우·선전 등
지역 기반 시장을 완전히 디지털화한 구조, 그리고 1688 내부 ‘상담·샘플·결제·물류·분쟁조정’까지 연결된
플랫폼 운영 구조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한국 등 해외 사업자가 중국 시장과 협업할 때 필수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기본 플랫폼으로 자리 잡게 만들었습니다.
<1688 유래·역사
요약 표>
구분
|
내용
|
플랫폼 탄생 배경
|
알리바바닷컴의 수출 중심 B2B 모델을 중국 내수 시장으로 확장하기 위해 개발
|
초기 필요성
|
중국 제조업체·도매상 간 정보 비대칭 해결, 거래 효율화, 디지털화 요구 증가
|
런칭 의미
|
‘1688=一路发(번창)’이라는 중국식 상징 네이밍 사용
|
본격 성장
|
2008년~ 알리페이·차이냐오 등장으로 결제·물류 기반 확립
|
현재 특징
|
B2B
OEM/ODM, 지역 시장 디지털화, 최소 MOQ, 샘플/대량 견적 시스템 구축
|
한국 사업자와의 관계
|
중국 공장·도매 시장 접근의 필수 관문, 소싱·OEM·도매 구매의 기반
|

1688의 역사는 중국 제조업 발전 속도와 거의 동일한 흐름을 보여줍니다. 오프라인 도매시장에서 온라인 제조·도매 플랫폼으로 옮겨가는 과정
자체가 중국 내수 시장의 디지털 혁신이었고, 이 흐름은 현재까지도 계속 확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사업자 입장에서 1688은 비용 경쟁력을 높이고 다양한
공급망을 확보하는 가장 직접적인 통로이며, 희명무역에서도 클라이언트의 소싱·견적·검수·물류 전 과정을
연결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