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고객님들이 중국에서 수입을 진행할 때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인 ‘통관 이슈’를 희명무역 실무자의 입장에서 스트레이트 형식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실제로 중국에서 물건을 들여오다 보면 통관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해 일정이 지연되거나 비용이 추가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시면 전체 수입 프로세스의 안정성이 크게 올라갑니다.

가장 먼저 많이 발생하는 문제는 HS 코드 분류 오류입니다. 중국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만 믿고 진행할 경우 한국 기준의 HS 코드와 다르게 잡히는 일이 흔합니다. 이렇게 되면 관세율이 예상과 다르게 적용되거나, 품목에 따라 인증이 필요한 제품인데 인증 없이 수입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저희는 출고 전 제품 스펙·재질·용도 기반으로 HS 코드를 재확인해 드리고, 필요 시 관세사와 사전협의까지 진행한 뒤에 출고하도록 도와드립니다.

두 번째로 많은 오류는 KC 인증 관련 문제입니다. 전기·전자제품, 생활가전, 충전기, LED 조명류는 KC 인증 없이는 정식 통관이 어렵습니다. 일부 셀러분들은 1688 판매자가 “문제 없다”고 말했기 때문에 그대로 들여오셨다가 통관장에서 보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희는 상품 구매 전부터 KC 대상 여부를 우선 확인하고, 인증이 필요한 제품이라면 인증 가능한 공장인지, 혹은 대체 상품이 있는지를 미리 검토하고 안내드립니다.
세 번째로 자주 발생하는 문제는 ‘포장 정보 미비’입니다. 특히 액체류, 화장품 샘플, 분말 제품 등은 성분표·용량·원료정보가 정확히 표기돼 있어야 합니다. 이우시장이나 광저우 판매자들은 이런 문구 표시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대로 들여오면 통관장에서 보완 요청을 받기 쉽습니다. 저희는 출고 전 라벨 샘플을 확인하고, 필요한 문구나 표기를 판매자에게 요청해 바로 수정하도록 과정 전체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네 번째는 ‘목재 포장재 규정’입니다. 일부 가구·DIY 제품은 나무 팔레트나 목재 포장재를 사용해 포장하는데, 이 경우 열처리 마크(HT) 규정이 없으면 통관이 불가능합니다. 많은 초보 셀러들이 이 부분을 간과하시는데, 저희는 가구 등 목재가 포함된 제품은 출고 전에 반드시 포장 상태를 확인해 HT 여부를 체크하고 필요 시 재포장 요청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많은 분들이 놓치는 부분이 ‘브랜드 표기’입니다. 의류·잡화·전자제품에서 유명 브랜드 로고가 들어갔다면 정식 라이선스가 없는 경우 통관이 불가합니다. 1688 판매자들은 “문제 없다”고 안내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중국 내 판매 기준이며 한국 통관 기준과는 별개입니다. 저희는 브랜드 리스크가 있는 상품은 아예 고객님께 처음부터 안내드리고, 무지 제품 또는 커스텀 공장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쪽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국 수입대행은 단순히 ‘배송’ 문제가 아니라, 전체 프로세스 중 통관 단계가 가장 중요한 구간입니다. 이 부분만 안정적으로 잡아도 전체 거래가 훨씬 원활하게 움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