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8 닷컴의 탄생 배경
1688 닷컴은 1999년 마윈이 알리바바닷컴(Alibaba.com)을
만들며 자연스럽게 중국 내수 B2B 시장을 위한 플랫폼으로 함께 출범한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글로벌 도매 플랫폼이 해외 기업과 중국 공급자를 연결하는 역할이었다면,
1688은 중국 내 중소 제조업체·공장·도매상이
중국 내수 시장에서 유통 채널을 확보하도록 돕기 위한 ‘로컬 B2B 전용
플랫폼’이라는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초창기에는 지역별 오프라인
시장을 디지털로 옮기는 데 집중했으며, 이우시장·광저우시장·선전 전자상가 등 전통적인 대규모 상권들이 온라인화되는 전환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2000년대 초~중반: 공급업체 중심 플랫폼으로 정착
2003~2008년 사이에 1688은 중국 전국의 생산기지(의류는 광저우·항저우·이우, 전자는 선전, 생활용품은 저장성·강소성
일대 등)를 온라인으로 묶으며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당시
제조업체들은 오프라인 거래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에, 온라인을 통한 가격 비교·MOQ 협상·채팅 기반 직거래는 큰 혁신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1688의 누적 공급업체는 수백만 단위로 증가하며 기반을
다졌습니다.
2010년대: 타오바오
생태계와의 결합으로 사용자 수 폭발
2010년대 초반, 타오바오·티몰이 급성장하면서 1688의 사용자가 비약적으로 늘기 시작했습니다. 중국 내 소매 셀러들은
온라인 쇼핑몰을 열며 안정적인 공급처를 찾았고, 그 수요가 1688에
집중되면서 구매자 규모가 대폭 증가했습니다. 이 시기부터 1688은 “도매 + 온라인 셀러 공급망”이라는
구조로 전환되며, 공급자와 구매자를 모두 흡수하는 B2B+B2C의
복합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습니다.

2020년 이후: 한국·동남아 등 해외 셀러의 급증
1688은 공식적으로 중국 내수용 플랫폼이지만, 2020년 이후 한국·베트남·태국 등 해외 셀러들이 대거 진입하면서 실제 사용자 범위가
중국을 넘어 확장되었습니다. 한국 셀러들은 1688을 통해
의류·리빙·악세사리·반려용품
등을 소싱하며, 구매대행·사입대행 시장이 함께 성장했습니다. 특히 한국의 SNS 기반 쇼핑몰·쿠팡
마켓플레이스 운영자들이 대량 유입되며, ‘글로벌 비공식 사용자층’이라는
새로운 성장 요인이 생겼습니다.
1688의 연도별 핵심 변화 및 사용자 수 규모(추정 포함)
아래 표는 중국 이커머스 통계자료·알리바바 그룹 공시자료·시장보고서를
기준으로 정리한 1688의 주요 흐름입니다. (해외 셀러는
공식 카운트가 아닌 추정치 기반)

번호
|
연도
|
주요 변화
|
공급업체 수(추정)
|
구매자 수(추정)
|
1
|
1999~2003
|
플랫폼 구축기
|
약 30만
|
약 100만
|
2
|
2004~2008
|
제조업체 대량 유입
|
약 200만
|
약 500만
|
3
|
2009~2013
|
타오바오·티몰 연계 성장
|
약 500만
|
약 1,500만+
|
4
|
2014~2018
|
모바일 전환 가속
|
약 800만
|
약 3,000만+
|
5
|
2019~2022
|
해외 셀러 급증 시기
|
약 1,000만+
|
약 5,000만+
|
6
|
2023~현재
|
실시간 도매·공급망 SaaS 도입
|
약 1,200만+
|
약 7,000만+ (비공식 해외 포함)
|
최근 사용자 수 확대의 핵심 요인
1688 사용자 증가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온라인 제조 공급망의 표준화’와 ‘빠른 단가 비교’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입니다. 또한 실시간 재고 API, QR 결제, 알리페이 기반 보증결제 등 인프라가 정착되며 거래 안정성이 높아졌고, 모바일
기반 주문·샘플 요청·대량 채팅 기능도 사용자 증가에 기여했습니다. 한국 셀러들이 직접 중국 공장을 찾지 않아도 1688을 통해 가격과
품질을 빠르게 검증할 수 있게 되면서, 구매대행 시장 자체가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1688 닷컴이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
1688은 공식적으로 내수 플랫폼이지만 실제로는 글로벌 B2B 시장의 가격 기준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제조 단가·MOQ·원자재 가격 흐름·리드타임·신제품 개발 트렌드가 모두
1688에서 먼저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한국 기업이나 셀러들은 1688을 ‘시장 시그널’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기존 오프라인 중심의 도매 시장이 온라인 데이터 플랫폼으로 재편되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1688을 활용하려는 셀러·기업에게
주는 시사점
1688의 역사를 보면, 단순 도매 플랫폼이 아닌 중국 제조 산업 전체의 흐름을 요약한
시스템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1688을 잘
활용한다는 것은 곧 중국 제조 생태계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과 연결됩니다. 품질 비교, 공급망 선정, OEM 협의, 샘플
검증 등 모든 과정이 1688을 통해 빨라지고 효율화되므로 한국 셀러·기업도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